
서울로 공원에서 자라는 노간주나무가 조그마한 꽃들을 피우고 있다.
오래전 우리 시골에서는 노가지나무라고 불리던 노간주나무이다.
보통 키도 작고 잎사귀들이 바늘처럼 날카로워 만져보기도 쉽지 않은 별 쓸모가 없는 나무라고 여겼던 기억이 난다.
노간주나무는 한자 이름 老柯子木 (노가자목)에서 유래했는데, 늙은 가지를 가진 나무라는 뜻이다.
나이가 들어도 키가 크지 않고 작다 보니 이 나무의 가지는 매우 질긴 특성이 있어서 도낏자루나 소코뚜레, 도리깨발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노간주나무의 속명 Juniperus는 향나무의 고대 라틴명 Juniperus에서 유래한다.
종명 rigida는 딱딱한 바늘 잎(rigid)을 뜻한다.




[노간주나무]
구과목 측백나무과 향나무속
상록 침엽 교목, 높이 8m
잎 3개씩 돌려나기, 침모양
꽃 5월, 암수딴그루, 초록빛 갈색
열매 구과, 구형, 다음해 11월

[노간주나무]는 구과목 측백나무과 향나무속의 상록 침엽 교목이며, 높이는 8m 정도이다.
학명은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이다.
다른 이름으로 두송(杜松), 코뚜레나무, 노가주나무, 노가지나무, 노간주향나무 등으로 불리며, 영명은 Juniper tree 또는 Needle juniper 라 불린다.


주로 한반도의 석회암 지대가 중심분 포지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수관은 빗자루 모양의 원뿔형이다.
나무껍질은 갈색이고 세로로 얕게 갈라지며, 2년지는 다갈색이고 일 년생 가지는 황갈색이다.
잎은 세모난 침 모양이고 3개씩 돌려난다.
길이는 1∼2cm이고 표면 가운데에 흰색의 좁은 홈이 있고 끝은 예리하게 뾰족하다.
꽃은 5월에 연갈색으로 피며, 지난해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여러 송이가 뭉쳐 달리며 길이는 5~8mm이고 타원형이며 노란 연갈색이다.
암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1~2개씩 피고 길이는 3~5mm이며 둥글고 노란 연갈색 또는 적갈색이다.
열매는 구과이고 구형이며 지름은 7~8mm이고, 다음 해 10~12월에 녹색에서 검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3~4개씩이고 달걀모양이며 길이 3~5mm이고 갈색이다.
























노간주나무는 추위에 매우 강한 양수로서 척박하고 건조한 땅에서도 잘 견디는 토착나무이다.
그래서인지 서울로 공원의 화분에서도 윤기 나는 푸르름을 유지하고 있다.
노간주나무는 잎이 날카로워 산울타리용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노간주나무의 열매를 말린 것을 두송실(杜松實)이라 하며 약용하는데, 카디넨(Cadinene), 사비넨(Sabinen), 히노키플라본(Hinokiflavone), 카야플라본(Kayaflavon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이뇨, 거풍, 제습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통풍, 관절통증, 신경통, 류머티즘, 수종, 방광염, 요도염 등의 치료에 쓴다.





'나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진목(Amelanchier asiatica) (25.4월) (0) | 2025.04.15 |
---|---|
분홍벚나무(Prunus sargentii var.verecunda) (25.4월) (1) | 2025.04.11 |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25.4월) (1) | 2025.04.03 |
장수만리화(Forsythia velutina) (25.3월) (0) | 2025.03.22 |
화살나무와 회잎나무(25.3월) (1)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