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풀 이야기 166

감동사초(carex Carex atrata) (25.3월)

동네 꽃밭에 감동사초가 슬며시 꽃대를 세우더니 어느새 빽빽하게 솟아 올렸다.감동사초는 주로 고산지대의 습기가 많은 계곡 근처에서 자라는 풀인데 이렇게 대도시에서 편안하게 만난다.아직은 흰빛이 도는 연노랑 꽃이삭들이 쭈빗쭈빗 고개를 들고 도토리 키재기 하는 듯하다.감동사초는 감동을 주는 풀이 아니라 감동사초의 감은 검을 감(紺)이며 꽃이삭이 검은색 또는 흑자색을 띠는 것을 말하고, 동은 움직일 동(動)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뜻한다.그래서 감동은 '검정' 또는 '검은'을 뜻하는 접두사로 쓰였다.따라서 감동사초는 꽃 색깔이 변하거나 검은 꽃이삭이 시간에 따라 아래로 처지며 변화하는 사초과의 한 식물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감동사초]벼목 사초과 사초속여러해살이풀, 높이 15~60cm잎 ..

풀 이야기 2025.03.30

별꽃(Stellaria media) (25.3월)

아파트 화단가에 자그마한 별꽃들이 하얗게 피었다.미세먼지가 여칠째 계속돼 봄이 온줄도 모르고 지냈나보다. 별꽃은 봄에 일찍 꽃이 피는 식물 중 하나로 길가나 화단, 빈터, 밭 등에서 쉽게 눈에 띄는 잡초이다.그런데, 별꽃은 잎에 털이 전혀 없고 꽃잎이 꽃받침보다 짧고, 암술대가 3개인 것이 특징이어서 쉽게 구별된다.별꽃이라는 이름은 꽃이 별 모양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속명 Stellaria도 라틴어로 별이란 의미를 가진 Stella에서 유래했고, 종명 media는 중간을 뜻하는 이름이다.꽃말은 '영원히 사랑스러워'이다.[별꽃]은 중심자목 석죽과 별꽃속두해살이풀, 높이 10~20cm잎 마주나기, 달걀 모양, 밋밋꽃 2~3월, 흰색, 취산꽃차례열매 삭과, 달걀 모양, 4~6월[별꽃]은 중심자목 석죽과 ..

풀 이야기 2025.03.13

낚시귀리(North america wild oats) (25.1월)

낚시귀리는 벼목 벼과 카스만티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60~90cm이다.학명은 Chasmanthium latifolium (Michx.) Yates이다.다른 이름으로 낚시귀리사초, 소반초, 납작보리사초라 불리며, 영명은 Seaoats, Spangle grass, Uniola 등으로 불린다.원산지는 미국 중동부, 멕시코 북동부이다.속명인 chasmanthium은 그리스어로 ‘갈라짐’을 의미하는 ‘chasme’와 ‘꽃’을 의미하는 ‘anthemum’에서유래했다. 종명인 latifolium은 라틴어로 ‘잎이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낚시귀리라는 낚싯대처럼 가느다란 줄기 끝에 이삭모양의 꽃이 달리고, 열매가 귀리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낚시귀리]벼목 벼과 카스만티움속여러해살이풀, 높이 60~90cm잎 ..

풀 이야기 2025.01.07

애기부들(Lesser cattail) (25.1월)

애기부들은 외떡잎식물에 속하며 부들목 부들과 부들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키는 1~2m 정도 자란다.학명은 Typha angustifolia L.이다.다른 이름으로 좀부들이라고도 불리며, 영명은 Narrow-leaved cat-tail, Lesser bulrush, Small reed-mace, Oriental Cattail 등으로 불린다.부들은 잎이 좁고 길며 부드러워서 부들부들하게 부드럽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인데, 애기부들은 부들과 비슷하지만 꽃이삭의 굵기가 부들보다 작아서 붙여진 이름이다.애기부들은 잎이 좀 두꺼운듯하면서도 부드러워서 오래전에는 방석을 만드는 재료로 많이 쓰였다. [애기부들]부들목 부들과 부들속여러해살이풀, 높이 1~2m잎 긴 선형, 80∼130cm, 밋밋꽃 6∼7월,황백색, 육수꽃..

풀 이야기 2025.01.04

왜모시풀(Boehmeria longispica Steud) (24.12월)

뜨거운 한여름에 무성하게 꽃을 피웠던 왜모시풀이 겨울이 되니 줄기끝마다 열매들이 달려 축축 늘어졌다.지난번에 첫눈이 많이 와서 잎사귀들은 거의 다 떨어졌고, 약간 휘어진 가지마다 열매줄기들이 도드라져 보인다.왜모시풀은 줄기 아랫부분이 목질화되어 마치 키 작은 나무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여러해살이 풀이다.그래서 겨울이 되면 지상부는 말라죽고 봄이 오면 새순이 돋아 다시 자란다.왜모시풀은 모시풀과 비슷하지만 일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모시풀이라는 의미로 한자 倭(왜) 자가 더해진 이름이다.일본이름은 야부마오(薮苧麻, 수저마)인데, 이는 후미진 곳에서 자생하는 삼을 닮았다는 의미이다.한자이름 野线麻(야선마)은 야생 삼이라는 뜻이다.왜모시풀의 학명은 Boehmeria longispica Steud.이다.속명 B..

풀 이야기 2024.12.08

카나비눔등골나물(Eupatorium cannabinum) (24.14월)

11월 중순을 넘어서며 급격하게 추워진 날씨 탓에 모두가 움츠린 요즘, 카나비눔등골나물은 오히려 활개 치듯 화려한 분홍빛 꽃들을 피워내고 있어 눈길을 끈다.이름에서 짐작하듯이 물 건너온 식물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고 얼핏 보면 향등골나물과 비슷해 보이기도 한다.잎자루가 거의 없어 줄기에 붙어 있는 듯한 모습이 향등골나물과 다른 점이다.가지마다 분홍빛 작은 꽃들이 다발로 피었는데, 꽃마다 실이 꼬여 엉킨듯해 보이기도 하고, 마치 거품이 일 듯한 모습이 인상적이다.카나비눔등골나물은 잎이 대마잎과 비슷해 대마등골나물이라고도 불리며, 아직 정식 등록된 이름이 없어 종소명을 붙인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카나비눔등골나물]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잎 마주나기, 긴 타원형, 톱니꽃 7~..

풀 이야기 2024.11.25

홍당무, 당근(Daucus carota subsp) (24.14월)

동네 꽃밭에 둥근 꽃송이들이 하얀 우산처럼 펼쳐지며 한창 피어나고 있다.꽃들이 피어나는 모습이 전문적으로 말하자면 전형적인 산형꽃차례이다.조그마하게 텃밭으로 가꾸는 곳에는 몇 가지 작물을 기르기도 했는데, 한쪽 구석에 남아 있던 당근이 요즘 탐스런 하얀 꽃을 피우고 있다.당근은 보통 붉은 뿌리채소를 떠올리기 마련이어서 이렇게 꽃이 핀 모습을 보기는 흔치 않다.마치 빵이 부풀어 오른 듯해 보이기도 하는데, 가까이 들여다보면 분명 꽃들이 촘촘하게 들어차 있음을 알 수 있다.당근은 주로 뿌리채소를 이용하다 보니 지상부는 상대적으로 덜 취급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당근은 '당나라에서 들어온 무'라는 의미이다.또 붉은 빛깔이어서 홍당무라고도 하는데, 紅唐무는 '붉은 빛깔의 당나라에서 들어온 무'라는 의미로 이 ..

풀 이야기 2024.11.24

인디언국화(Gaillardia pulchella Foug) (24.11월)

동네 꽃밭에서 인디언국화가 큼직한 꽃잎을 화려하게 활짝 펴고 쌀쌀해진 늦가을의 아침을 맞고 있다.얼핏 보면 꽃 모양이 기생초를 닮은 듯해 보이기도 하고, 기생초와 국화를 섞어 놓은 듯해 보이기도 한다.인디언국화는 인디언들이 즐겨 쓰는 모자를 연상시키는 모습이기도 하고, 인디언들이 많이 사용하는 담요의 색과 비슷한 색상이기도 하다.그래서인지 영어 이름도 Indian Blanket flower(인디언담요꽃)로 불린다.[인디언국화]초롱꽃목 국화과 인디언국화속여러해살이풀, 높이 30~50cm잎 어긋나기,장타원형, 밋밋,톱니꽃 5월~11월, 머리모양꽃차례열매 수과, 둥근모양, 8~11월[인디언국화]는 초롱꽃목 국화과 인디언국화속의 한해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30~50cm이다.학명은 Gaillardia p..

풀 이야기 2024.11.18

바질(Ocimum basilicum) (24.11월)

동네 꽃밭으로 들어서는 초입에 줄기마다 하얀 꽃을 피워내며 독특한 향을 풍기는 바질이 시원한 늦가을의 아침을 맞고 있다.바질은 잎과 꽃과 줄기에서 박하향보다 더 진한 향기를 풍기는데, 근처에 가까이 다가만가도 달콤한 향기를 나는 것을 알 수 있다.바질은 지중해 요리와 태국 요리에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 중 하나이다. 바질(basil)은 라틴어 basilius와 그리스어 βασιλφυτ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왕이라는 의미이다.이는 바질이 왕실에서 쓰이는 왕실식물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바질]통화식물목 꿀풀과 바질속한해살이풀, 높이 70cm잎 마주나기, 난상 장타원형, 톱니꽃 7~11월, 흰색, 층층이 원추형열매 견과, 난형, 종자 검은색[바질]은 통화식물목 꿀풀과 바질속의 한해살이풀이며, 높이는 70cm 정..

풀 이야기 2024.11.02

타이바질(Ocimum basilicum var. thyrsiflora) (24.11월)

동네 꽃밭에서 가을꽃들을 둘러보고 있는데, 어디선가 향긋한 향기가 풍겨와 돌아보니 타이바질이 줄기마다 층층이 꽃을 피우고 있다.자줏빛깔의 각진 줄기들이 다소 억세 보이여 아랫부분은 나무 같은 느낌도 든다.타이바질이 낯선 땅에서 낯선 이웃들과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조금은 안쓰러워 보인다.이제 곧 추워질 텐데...태국 등 동남아시아에서 많은 요리에 사용하는 향신료이며 향이 독특하고 맛이 풍부하다.태국 이름은 Kaphrao이다.[타이바질]통화식물목 꿀풀과 바질속한해살이풀, 높이 50cm 줄기 사각, 자주색잎 마주나기, 장타원형, 잔 톱니꽃 7~11월, 연분홍색, 원추형열매 견과, 긴 타원형[타이바질]는 통화식물목 꿀풀과 바질(Ocimum)속의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50cm 정도이다.학명은 O..

풀 이야기 2024.11.0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