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쉽게 알아 보는 풀과 나무 7

고로쇠나무(Acer pictum subsp) (25.4월)

아파트 정원에서 자라는 고로쇠나무에도 4월이 되니 어김없이 꽃들이 피어나고 있다.잎이 돋아나며 꽃이 피는데, 꽃 색이 연한 황녹색이어서 잘 눈에 띠지 않는다.조용히 다가가 살며시 들여다보면 자그마한 꽃들이 무수히 피었음을 알 수 있다.고로쇠는 뼈에 이롭다는 의미의 골리수(骨利樹)라는 한자에서 유래한 이름이다.꽃말은 '영원한 행복'이다.[고로쇠나무]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낙엽활엽 교목, 높이 20m잎 마주나기, 장상, 5갈래, 밋밋꽃 잡성, 4∼5월, 연한 황록색열매 시과, 길이 2∼3cm, 9월[고로쇠나무]는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이며, 높이는 20m 정도이다.학명은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이다.다른 이름으로 고로쇠, ..

복자기(Acer triflorum Kom) (25. 4월)

공원 산책길 옆에 서 있는 복자기가 훌쭉한 큰 키 꼭대기에 연 노란색의 꽃들이 다닥다닥 피어나고 있다.잎이 함께 나오고 있어 멀리서 보니 훨씬 풍성해 보인다. 복자기라는 이름은 왜 이런 이름이 되었는지 뚜렷한 근거나 유래를 찾기 어렵다. 그냥 복자기이다. [복자기]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낙엽 활엽 교목, 높이 15~20m잎 마주나기, 3출엽, 긴타원상 난형꽃 잡성, 5월, 산방꽃차례열매 시과, 회백색. 9∼10월[복자기]는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이며, 높이는 15~20m 정도 자라는 한국 토종 나무이다.학명은 Acer triflorum Kom이다.다른 이름으로 복자기단풍, 개박달나무, 나도박달나무 등으로 부르며, 영명은 Three-flowered Maple이다.수피는..

큰별목련(Magnolia x loebneri) (25.4월)

서울로 고가 하늘정원의 목련존을 지나다 보니 겹꽃으로 꽃이 피는 목련이 풍성하게 꽃을 피우고 있다.다른 목련들은 이제 겨우 꽃망울이 벌어지려 하는데 큰별목련은 이미 만개했다.큰별목련은 한국 자생종인 목련(Magnolia kobus)과 일본 원산의 별목련(Magnolia stellata)을 육종한 원예종이다.독일 원예가 막스 뢰브너(Max Löbner)에 의해 1910년에 처음 만들어진 이후 많은 품종이 개발 됐고, Wildcat도 그중 하나다.[큰별목련]목련목 목련과 목련속 낙엽 활엽 소교목, 높이 3~4m잎 어긋나기, 긴 타원형, 밋밋꽃 4월, 순백색, 겹꽃열매 골돌과, 9~10월[큰별목련]은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이며, 높이는 3~4m이다.학명은 Magnolia x loebneri ..

냉이(apsella bursa-pastoris) (25.3월)

공원길 길가에 다 자라지도 않은 키 작은 냉이들이 봄볕을 맞으며 하얀 꽃송이를 앞다투어 피워내고 있다.아직 체구는 작지만 꽃들을 집단으로 튼실하게 피워내고 있어 가만히 들여다보면 마치 별들이 무리 지어 이 땅으로 내려온 듯한 느낌이다.냉이는 내이, 나생이, 난생이, 나상이, 나새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른다.냉이는 한문으로 제체(薺菜)라고 하는데, 제(薺)는 냉이나물을 말한다.동의보감에서 냉이는 ‘나이’라고 하는데, 이는 “푸르다”라는 뜻이다. 냉이의 이두식 표현이 '나이'이고, 나이가 변화하여 냉이라는 이름이 되었다.[냉이]양귀비목 십자화과 냉이속두해살이풀, 높이 10~50cm꽃 2월~, 흰색, 산방화서뿌리잎 로제트형, 깃 모양줄기잎 어긋나기, 피침형, 깃 모양열매 각과, 편평한 거꿀 삼각형형[냉이]..

큰개불알풀(Veronica persica Poir) (25.3월)

동네공원 길가에 큰개불알풀이 새의 눈을 닮은 예쁜 꽃들을 활짝 피웠다.이름이 큰개불알풀이어서 꽃이 큰가 하지만 실제 꽃은 1cm 정도 되는 작은 꽃이 핀다.큰개불알풀은 서남아시아 원산으로 유럽에서 1800년대 초에 귀화한 외래식물이다. 속명 ‘Veronica’는 성경에 나오는 성녀 ‘베로니카’에서 온 것이고, 종소명 ‘persica’는 원산지가 ‘페르시아’임을 뜻한다.큰개불알풀이라는 이름은 오이누노후구리(大犬の陰囊)’라는 일본 이름을 그대로 직역한 이름을 지금껏 사용하고 있다.일본 사람들의 눈에는 꽃이 진 후 열린 열매의 모양이 개의 불알을 닮은 것으로 보였나 보다. 요즘은 개불알풀을 '봄까치꽃'이라고 부르고 있어 큰개불알풀은 '큰봄까치꽃'이라고 이름을 바꿔 부르기도 한다.영어 이름은 'bird's ey..

히어리(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25.3월)

정원에 히어리가 노란 꽃송이들을 주렁주렁 늘어뜨리고 봄날을 느긋하게 즐기고 있다.히어리를 바라보는 나도 물론 느긋하게 오는 봄을 받아들이고 있다.마치 누군가 어린아이의 머리를 땋아 준 것처럼 꽃송이들이 찰랑찰랑 댄다.히어리(2025.03.23. 마포)며칠 지나니 히어리가 만개했다.꽃송이들이 주렁주렁 장관이다!히어리(2025.03.26. 마포순천 송광사 부근에서 일본인이 히어리를 처음 보고 송광납판화(松廣蠟瓣花)라는 이상한 이름을 붙였었으나 우리말로 옮기면서 다행스럽게도 히어리라는 예쁜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참으로 다행이다.그러나 학명에 일본인의 이름이 들어가 있음은 유감이다순천 지역에서는 이 나무를 15리마다 심은 나무여서 시오리라 불러왔는데, 서울 사람들이 히어리로 알아들어 히어리가 되었다 한다. ..

풍년화(Hamamelis japonica) (25년3월)

서울로7017 공중정원에도 봄이 왔다.풍년화들이 예년처럼 헝클어진 듯한 모습으로 가지마다 풍성하게 피었다.보통 2월쯤 일찍 꽃이 피는데 이곳은 공중이어서 더 추워서인지 조금 늦게 핀듯하다.그렇지만 노란색과 자주색 꽃들이 어김없이 풍성하게 피어났다.풍년화(豐年花이는 이른 봄에 가지마다 만발한 꽃 모양이 풍성해 보여서 마치 풍년이 든 모습 같다 하여 풍진 이름이다. [풍년화]장미목 조록나무과 풍년화속낙엽 활엽 소교목, 높이 2~4m잎 어긋나기, 도란형, 둔한 톱니꽃 4월, 노란색, 모여피기열매 삭과, 8~10월[풍년화]는 장미목 조록나무과 풍년화속의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이며, 높이는 2~4m이다. 학명은 Hamamelis japonica Siebold & Zucc.이다.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며,..

728x90
반응형